티스토리 뷰
이번 시간에는
건물번호 검색 방법에 대해 알아볼께요.
부여된 도로명, 기초번호, 건물번호, 상세주소에 의해
건물의 주소를 표기하는 방식이
바로 '도로명주소'입니다.
도로명주소가 처음 시행됐을때 혼선이 매우 많았었죠.
입에 붙었던 익숙한 지번주소로인해
저도 도로명주소가 시행되고서도 2년 정도는
쭉 익숙한 지번주소를 사용했었네요.
그러다 집이 이사하게되면서 어차피 새로 익혀야할 주소, 그냥 도로명주소로 외우자!
해서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지금은 오히려 지번주소나 낯설게 느껴지네요.
왜 잘 사용하는 지번주소를 바꾸나 했는데 익숙해지니
도로명주소가 훨씬 외우기도 쉽고 편합니다.
지번주소는 동, 리+지번으로 토지중심이었다면
도로명주소는 도로명+선물번호로 건물중심입니다.
도로명은 <국회대로62길>처럼 붙여쓰고,
도로명주소 건물사이에는 <국회대로62길 9>치럼 띄어씁니다.
건물번호와 동/층/호 사이에는 ,(쉼표)를 사용합니다.
<삭주로 89, 201동 101호>이런 식으로요.
건물번호는 도로시작점에서 20m간격으로 왼쪽은 홀수, 오른쪽은 짝수를 부여합니다.
우리집 건물번호 검색 하는 방법 간단하게 알려드리레니 보세요.
먼저, 건물번호 부여방법을 살펴보면
2개의 도로에 출입구가 접한 경우 도로의 출입구를 기준으로해서
건물번호를 부여하게되지만 건물 소유자가 원하는 경우엔 달리할 수 있습니다.
또, 하나의 구간에 여러개의 건물이 있는 경우나
하나의 구간에 종속구간이 있는 경우는 <11-1>등으로 부번을 사용하게 됩니다.
도로에 위치한 지하상가는 건물번호 앞에 '지하'를 함께 표기합니다.
<OO로 지하11>
위에 도로명주소 보는 방법 참고하세요.
우리집 건물번호 검색 하시려면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습니다.
홈페에지에 접속해서 검색창에 집 주소를 입력하고 검색해 보세요.
아래처럼 도로명주소가 나오는데요.
<올림픽로 135> 여기 135가 건물번호가 되는 것입니다.
아파트의 경우는 건물번호 뒤에 동, 층, 호 등으로
상세주소가 붙게되는데, 이는 건물내의 정확한 위치 안내로
우편물이나 택배등을 받을 때 꼭 기재해야하는 필수상세주소입니다^^
동, 호수 입역안하고 배송지 등록하는 분들은 없으시겠죠??
이러한 상세주소의 경우에는
원룸, 다가구주택 등의 소유자 또는 임차인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건물 관할 소재지의 시, 군, 구청 도로명주소 담당으로 방문하거나
정부24(민원24)에서 인터넷접수도 가능합니다.
사람들은 보통 익숙한것이 바뀌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있습니다~
그래서 도로명주소도 그렇고, 우편번호 5자리도 그렇고 말이 참 많았었는데요.
지금은 모두 정착해서 많은 분들이 편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도 그런 사람들 중 한명이구요.
도로명주소도 건물번호도 알고사용하니 더 의미있고 좋네요.
이렇게 건물번호가 정해진다는 것을 몰랐었는데 이제 정확히 알게 된 것 같아 뿌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