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늘 준비한 정보는 노트북 와이파이 연결방법입니다. 윈도우, 맥북 나눠서 설명해 드릴게요. 노트북은 기본적으로 무선 인터넷(Wi-Fi) 연결 기능을 가지고 있어, 별도 랜선 없이도 어디서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윈도우 노트북과 맥북에서 Wi-Fi를 연결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자세하게 안내드릴게요.
윈도우 노트북에서 와이파이 연결하는 방법
◈ 적용 대상:
- Windows 10, Windows 11 공통 사용 가능
- 삼성, LG, ASUS, HP 등 모든 브랜드의 윈도우 노트북
1. 작업표시줄의 Wi-Fi 아이콘 클릭
- 화면 오른쪽 하단(시계 옆)에 있는 와이파이 모양 아이콘(🌐 또는 📶)을 클릭합니다.
- 아이콘이 없으면, 화살표(△)를 눌러 숨겨진 아이콘에서 찾을 수 있어요.
2.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목록 확인
- 근처에 잡히는 와이파이 목록이 쭉 나타납니다.
- 내가 연결할 와이파이 이름(SSID)을 확인하고 클릭하세요.
3. 비밀번호 입력 후 연결
- 비밀번호(보안키)가 걸려 있다면 정확하게 입력 후 "연결" 버튼을 클릭합니다.
- 비밀번호가 맞으면 자동으로 연결됩니다.
4. 연결 상태 확인
- 와이파이 아이콘이 검은색이나 하얀색으로 꽉 찬 모양이면 연결된 것입니다.
- 인터넷이 정상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려면 브라우저를 열고 웹사이트 접속해보세요.
▶ 연결 안 될 때 확인할 점
- 비밀번호가 틀렸는지 확인
- 비행기 모드가 켜져 있는지 확인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비행기 모드
- 무선 랜 드라이버가 비활성화된 경우
장치 관리자
에서 활성화 필요
맥북(MacBook)에서 와이파이 연결하는 방법
◈ 적용 대상:
- macOS Monterey, Ventura, Sonoma 등 최신 맥 운영체제
1. 상단 메뉴바에서 Wi-Fi 아이콘 클릭
- 화면 오른쪽 상단에 있는 Wi-Fi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2. Wi-Fi 켜기
- 꺼져 있다면 "Wi-Fi 켜기"를 클릭하여 활성화합니다.
3. 연결할 네트워크 선택
- 주변에 잡히는 Wi-Fi 네트워크 목록이 나타납니다.
- 원하는 와이파이 이름을 클릭합니다.
4. 비밀번호 입력 후 연결
- 비밀번호가 설정된 와이파이라면 입력창이 나타납니다.
- 정확하게 입력 후 ‘연결’을 클릭합니다.
5. 연결 상태 확인
- Wi-Fi 아이콘이 진하게 채워진 모습이면 연결 완료된 상태입니다.
- Safari 등 브라우저를 열어 웹 접속이 가능한지 확인해보세요.
▶ 연결 오류 시 체크할 것
- 와이파이 비밀번호 오타 여부
- 시스템 환경설정 > 네트워크 > Wi-Fi에서 네트워크 수동 설정 가능
- 인터넷 공유 허용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
와이파이 연결 시 유용한 팁
- 자동 연결 설정: 한 번 연결한 와이파이는 이후 자동으로 연결됩니다.
- 공공 와이파이 주의: 카페, 공항 등 무료 와이파이는 보안에 취약할 수 있으니 민감한 정보 입력은 피하세요.
- 모바일 핫스팟 연결: 스마트폰에서 ‘모바일 핫스팟’을 켜면 노트북에서 Wi-Fi처럼 연결 가능
댓글